본문 바로가기
세상분별/세상-세계정부

천안함진실

by 디클레어 2010. 5. 30.

천안함의 범인이 밝혀졌다 [13]

조회 204310.05.30 00:27

50대 선인 hyunin**** 50대 선인님프로필이미지

 

 

바로 아래 링크 글은 미언론인이 뉴스인터뷰에서 천안함에 대해 폭로한 것을

해석해 올린 글을 펌한 글입니다.

 

아래 링크 글을 읽고 본문의 글을 읽으면 쉽게 이해가 됩니다.

 

천안함은 최초 누군가에 의해 밸브가 열려 침수 시작 --> 급히 백령도

해군기지로 최대로 항진 --> 바위에 부딪혀 좌초 --> 미잠수함(정)에

의해 충돌 --> 충돌 + 피로파괴를 동반 두 동강 침몰로 추정 됩니다.

 

 

아래 글은 나머지는 생략하고 미 잠수함 충돌 측면만 추정한 글로

봐 주시면 될것 같습니다.

 

철저히 증거를 없애고 완전범죄를 위해 몇번의 시도를 한 넘들 같습니다.

 

 

http://bbs1.agora.media.daum.net/gaia/do/debate/read?bbsId=D003&articleId=3669163&hisBbsId=best&pageIndex=1&sortKey=&limitDate=-30&lastLimitDate=

 

 


 

-------------------------------- 펌 글  ------------------------------------

 

 

 

이 글을 보시기 전에 사용하시는 키보드 자판 맨 윗줄에  F11 키를눌러서 화면을 늘린 후 보십시요


다 보신후 다시 F11 을 누르시면 원래대로 하늘에서 도구창이 내려 옵니다.


하늘색 막대 굵은 글씨를 클릭하시면 해당내용의  링크로 연결됩니다.


 만약 생업에 바빠 천안함에 대한 뉴스를 거의 접해 보지 못하셨다면 우선 다음 링크를 읽고 진행하십시요


천안함 침몰 원인 시간대역별 정리

완결편을 작성하기전에 재등록하니 조중동보시는 셔틀여러분들 참고하세요

잠수함 충돌 참고 사항12


 


 


계속 추적하시는 분들에게 도움되시라고 그림 자료 위주로 올려드립니다.


정부도 뻔한 언플 반복하는데 우리도 체력도 아낄 겸 보충 좀^^


제 블로그 자료들은 마음대로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본문 시작

 

1.천안함에 충돌하여 천안함을 침몰 시킨후


동반 침몰한  일본 잠수함일 가능성은 없나요?


 


다음 사진은 수상 배수량 2700 톤 수중 배수량 3600 톤 승조원 70명의 일본 오야시오 급 잠수함


이 정도 급은 1200 톤 급 수상함과 충돌하면 동반 침몰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일본의 반응을 볼 때 가능성이 별로 없슴


1


 


2.미국 핵잠의 사고로  승조원의 반수가 사망한 경우


는 없나요?( 이 경우는 미국의 반응으로 볼 때 가능성은 별로 없습니다)


미군 핵 잠 특히 한반도 서해안에 움직이는 핵잠들은


거의 엘에이 급이나 버지니아 급 등입니다


버지나아급 핵잠수함 자료참고사이드 어레이 소나 설명 동영상

http://www.cyworld.com/2LS/3248695

 2



미 해군 인식 번호

이러한 핵 잠들의 평균 배수량은 8 천 톤입니다.


잠수함은 수심 500 미터에서도 견디도록 특수 설계 된 복합 장갑을 사용합니다.


8 천 톤 급 잠수함에 부딪혀서 멀쩡할 수 있는 1200 톤 급 배는 이 세상에 없습니다.


8 천 톤 급과 부딪힌 2 만 5 천 톤 급 상륙함도 수리를 받아야 했습니다.


잠수함이 와서 받은 게 아니라 배가 잠수함을 충격한 경우인데도 그랬지요.


미핵잠수함과 대형상륙함과의 충돌보도

위 잠수함과 충돌한 뉴올리언스 상륙함

 

 

3.천안함에 부딪힌 미 핵 잠수함


상단의 ASDS사일로가 떨어진 것이 아닐까요?


 


핵잠수함 오하이오자료참고링크

 


다음 사진은 핵잠 오하이오(하와이 아닙니다.) 상단의 ASDS사일로입니다.


3


 
4

 

 

5-1




 ASDS 격납고 유실 근거링크








리버모어kim2**** 


http://www.youtube.com/watch?v=6C0alZFxk_Q

 >> 게임에 나오는 ASDS의 모습입니다. 


실제 무기 고증으로 유명한 모던워페어2 영상인데, 


초반부 특수부대 요원들이 타고 나가는 모습을 한번 보시고, 


이 글 중간에 UDT동지회 잠수부의 인터뷰와 비교해보시죠 10.05.04 17:15 


5-2

 




이 사건에서 사람들에게 잘 알려지 않은 것을 살펴 보면 답이 나옵니다.


용트림 바위 앞 바다 제 3 부표 지점 바닷속을 잠수하여 탐색 했던 UDT 동지회 잠수부는

 

4월 7일 KBS 9시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6


 


"천안함 함수인줄 알고 들어가보았더니 천안함이 아닌 이상한 대형 구조물이 있었다...


해치가 달린 대형 구조물이 있었고 해치를 열고 들어가보니


소방호스같은 것이 복잡하게 걸려있었다"고 말했습니다.


 7 다음 사진은 한주호 준위가 3월 30일 제3부표지점에서 사망했다는 보도



 


저 위 3,4,5사진에 사일로 내부 천장을 보시면 호스가 많이 보이시죠?


맨안쪽에는 지금은 안보이는 소방호스


즉 부상시 세척에 사용하는 배수펌프용호스도 짱박혀 있었을 겁니다.


 8


 


4월2일 밤 이것을 찾으려다가 금양98호가 침몰하여 9명 전원 사망하게 된 것입니다....
9


 


링스헬기는 왜 두 대나 추락 했나요?


두 대의 사일로중 나머지 하나를 찾으려고 디핑소나 들고


주야불문 무리하다가 해군 링스 헬기가 두 대나 추락 한 것입니다.



 

10 대잠 링스헬기가 디핑소나를 달고 가는 장면입니다.



 


11



 


처음 링스 헬기가 추락하여 탑승자 전원 사망한 지점이


백령도 연안 해류가 남쪽으로 이동하는 지점이었다는 것도 정황 증거입니다.


12


 



 
 
 
3월 27일 오후 평택 해군 제2함대기지내에서 살아있다고 말해달라며 오열하는 천안함 유가족
13


 

 

 13-2

3월 28일 투입된 광양함

 

13-3

3월28일 오전 작업중인 ssu

 

 

13-4

3월28일 오후(백령도=연합뉴스) = 백령도 해상에서 해군 초계함 천안함이 침몰한지 이틀째인 28일 오후

사고현장인 백령도 장촌포 앞 해안이 수색작업으로 분주하다

 

13-5

3월29일 밤 늦게 투입된 독도함의 30일아침 작업 장면

 

13-6

3월30일 후송도중 사망한 UDT대원 한주호 준위

 

 

3월30일 오후 이명박 대통령(앞줄 왼쪽2번째)이

해군 초계함 천안함 침몰 사건 현장인 백령도를 방문해 

구조작업중인 독도함에서 고무보트를 타고 실종자가족이 탑승하고 있는 광양함으로 이동하고 있는 장면이다.

13-7



 

만약 북한 어뢰라면 대통령이 저곳에 기념사진 찍으러 오진 못한다.

저곳은 북한 해안포사정권인데 군군 최고통수권자가 저곳에 간다는건 북한어뢰가 아니라는 반증이다.

 13-8

4월3일 한주호 준위 영결식

13-9

 

13-10

 

4월15일 추락 사망한  해군 링스헬기 조종사 권태하(32) 대위

이날 추락으로 탑승자 4명 전원 사망했다.

13-11

 

 

4월17일 추락한 해군 2함대 소속 대잠 링스헬기 보도

13-12

 

4월28일

해군 링스헬기 추락사고로 숨진 故 권태하 소령, 홍승우 대위, 임호수·노수연 상사의 영결식이 열린 28일 오전

전남 영암군 삼호읍 해군 3함대 체육관에서 홍 대위의 동기인 김창현 중위가 추도사를 읽으면서 눈물을 흘리고 있다.

13-13

 

 

 

 


4월28일

천안함 침몰 희생자들의 영결식을 하루 앞둔 28일 오전 경기도 수원 연화장에서

끝내 시신을 찾지 못한 6명의 실종자에 대한 화장식이 엄수된 가운데 고 박경수 상사의 동료들이 눈물을 흘리고 있다.

13-14

 

 

 

4월29일 10시

천안함 순직 46명 영결식에서 유족이 오열하고 있다.

13-15

 

 


 14


 


 


서해는 핵 잠수함이 활동 할 수 없는가?


 


아닙니다


냉전 이 후 가장 활발한 핵 잠수함 전력이 집중되고 있씁니다.


 15



 


 천안함 함미가 침몰한 수심이 45 미터


5키로 떨어진 함수 침몰 지점은 70 미터라 하였죠.


그런데 평균 수심이 6 미터???


이 평균이라는 말에 함정이 있습니다.


 


 16



 


서해는 미 핵잠 전략적 거점 보도 링크

 

 


흔히 최초 사고 발표 지점을 이야기하며 평균 수심이 6 미터라고 하는데


그건 현실을 오도하는 작업일 뿐입니다.


 17



 


저 지역에서 평균 수심은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해안과 가까워서 해안의 수심 1 미터가


침몰 지점 수심 80 미터를  평균 40 미터로 만들어 버리는 것입니다.


18



 


아무리 평균 수심이 얕아도 잠수함이 다니는 깊은 수로가 있씁니다.


육지와 같이 바다에도 평지와 계곡이 존재하고 잠수함은 그 깊은 계곡을 따라 은폐 엄폐를 하는 것입니다.


더 자세한 부분은 다음 잠수함 전문 서적을 참고 하십시요


19



 20



 


 


버지니아급 핵 잠수함의 흘수선은 9.8미터, 총전고가 25미터로


수심 45 미터에선 잠수 항진도 가능하며


미 해군 핵 잠들이 급부상 훈련을 실시하는 수심이 보통 80 미터에서 150 미터사이 입니다.


다음 동영상은 엘에이 급 핵 잠수함의 급부상 훈련


21


 

 


정부가 여태까지 오락 가락 계속 좌표를 바꾸어 말한 것을 봐도 정부 발표를 신뢰할 수가 없습니다.


핵 잠이 급부상 중 천안함의 좌현을 전방 강타 한 것이 아니라면


깊은 수로가 몇 개 되지 않는 저 수역에서 앞서가던 천안함이 암초에 스크류가 걸려 후진하던 중


뒤 따라 오던 핵 잠이 좁은 수로에서 회피 기동하지 못하고 천안함의 좌현을 스치고 가다가


천안함의 롤링 방지용 날개에 핵잠의 돌출부가 걸려 천안함 절단면에 콕 찍히듯 충격하면서


천안함이 침수가 시작되고  이후 전단 파괴 된 것이라 봅니다.


자세한 추론은 이미 앞 글에 올린 바 있으므로 간단히 마칩니다.


요즘 얀새님이 무리해가며 열심히 분석 해 주시는데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중국을 견제하는 훈련에는 반드시 일본이 함께 하나요?


일본대사관이 미국과 함께 조기게양을 했습니다...


미국의 패권구상 -대중국 견제 전략

미국의 패권구상 2

 


다음 사진은 27일 한국 문화관광부 국기 게양과 대비 되는 주한 미 대사관 조기 게양


22


 
 미국대사관은 4월 9일부터 조기를 걸었다.사체인양이 시작된 시점이다.

 

다음은 4월 27일 한국 과천 정부 종합 청사 국기게양과 일본 미국 대사관 조기게양 비교


23



 24



 


대통령을 비롯한 정부 고위급이 몰사한 비행기 사고 이 후


조기 게양된 4월 11일 폴란드 대사관


25



 


다음 사진들은 더 충격적입니다.한국의 일개 군함이 침몰했다고


미국을 대표하는 주한 미대사가 방문합니다.그것도 사고현장에...@@


한미 연합 사령관도 왔습니다.


저는 군 생활 할 때 사령관이나 별은 고사하고 중령도 제대로 못봤습니다.


군대 다녀오신 분들 군에서 사령관 아니라 원스타 하나만 뜨면 어케 되는지 아시죠?


전 부대 바로 갑호할배 특특비상 떨어집니다. 그야말로 파리가 미끄러지도록 야단 법석이지요


별 하나가 그런데...저기 별 4 개 짜리 총사령관 출현입니다.


저건 전방 GOP에 별 14 개가 온 거나 마찬가집니다.


 26


 


 


 


한국군이 사망 했다고 미군이 부조금 낸 적 있나요?


없습니다.단 한 번도 없습니다..


해병 159 명이 포항 앞바다에서 몰사 했을 때도...


제주도에서 특전사 최정예 병력이 몰사했을 때도 없었습니다.


그런데 부조금 정도가 아니라 일개 준위 사망에 한미 연합 사령관이 직접 금일봉 하사 하시네요


이건 뭐....


전작권이 미국한테 있는 지금


한미연합사령부는 군 지휘 체계 상 한국 대통령보다 한 끗발 더 높습니다.


이명박이 이스라엘의 헤롯이라면 샤프 사령관은 로마에서 파견 된 빌라도 총독 쯤 되는 셈이죠..


 27



 33



 


 


5.천안함 인양전에 40명의 사체인양설과 4구의 사체 인양설은?


초기 OBS에서 사체 4 구 인양 보도 전에 40 구 인양 카더라 소식도 있었는데 공식 보도 되지 않았습니다.


이게 사실이라면 최소 44 명 이상의 또 다른 사망자가 있다는 것입니다....


다음 링크의 뉴스는 괜시리 기분을 찝찝하게 만들더군요


 


美 화장장 차고에서 40여구 시체자루 더미 발견

 


 음모론이라고 비웃을지 몰라도 911 테러 자작 극을 본 저로서는 그렇지 못합니다.


 


911테러 미국자작극 81분 동영상 루즈체인지 한글자막

911테러 자작극 보고서 1

911테러 자작극 보고서 2

40년전 아폴로우주선 달착륙 조작 날조 동영상

 34








modo h90***


obs - 경인방송 -- 4구의 사체 인양 보도는 오보가 아닌 사실이라며,,


정정보도를 거부했었죠...


그 방송은 지금까지도 유효한 것이구요...


--- 발표 안 되는 4구의 사체는 누구인가,,,


이것도 상당히 중요한데,,, 묻혀있죠... 10.05.08 22:58









35



 


6.두번의 충격이 연이어 있었다는 생존자 증언은 뭐죠? 


몸이 10센티에서 함수로 갈수록 50센티까지 떴다는 것


이 두번의 충격은 여태까지 있었던 잠수함과 선박의 충돌에서 공통적으로 일어난다는 것


이것은 다른 충돌사고  생존자들의 수많은 증언들이 있씁니다.


 


 36


 



 36-2


 


 


 37



37-2



 


함수마스트와 부포등은 침몰과정에서 유실된 것이지


폭발로 날라간 게 아닙니다.


정부는 어뢰폭발로 날라갔다고 우기지만


어뢰폭발로는 저런 모습이 결코 될 수가 없습니다.


 38



 


 


7.잠함 하부가 충돌 후 세일이 한번 더 충격하는 경우가 있나요? 


 


또는 1차 잠함 세일이 충격후 배수량이 작은 쪽이 자유단 회전하여 2차웅격하는 경우도 있나요?


 


잠함과 선박은 대부분 두번의 충격음을 일으킨다는 것이 여태까지의 충돌사고 통례입니다.


 39


 



 40



 41



 


 이 발표는 정부 스스로 잠수함 충돌이라고 실토하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8.천안함이 충격후 곧바로 우현으로 기운 이유가 뭔가요?


 


다음 사진들은 해경이 현장에 도착했을 때의 천안함 모습입니다.


42



 


실제 현장사진입니다


43



 


단순 침수라면 사고후 급격하게 우현으로 기울지 않습니다.


 44



9시26분 이미 두동강 백령도 해병대 초소에서 열상감시장비(TOD)로 찍은 천안함 침몰 순간.


지난 26일 밤 9시30분께 폭발했다는 애초 발표와 달리 9시21분께 이미 선체가 두 동강 난 것으로 밝혀졌다 .


국방부 제공 화면 갈무리


 


위 TOD화면에서 우현으로 기울어 버린 천안함 마스트 아래로 검은 점이 하나 보이죠?


함미는 이미 침몰하고 없는데 웬 점이 보일까요?


연돌이라면 격실도 없어 함미보다 먼저 침몰했어야 정상인데 저 점은 과연 무슨 물체일까요?


 45




어뢰나 기타의 폭발이라면


반드시 보여야 할 열이 TOD에 잡히지 않았다는 점도


충돌로 인한 전단파괴를 의미하는  증거가 아닐까요?


 46



 


위 TOD장면에서 붉은 사작형안 중간지점의 작은 물체는 뭔가요?


저것은 처음에 천안함의 좌현에 위치해 있다가


우현으로 점점 나오면서 가라앉습니다.(잠수?)


천안함의 함수와 함미와는 다른 진행방향을 보입니다.


천안함에서 떨어진 물건이 아니란 증거죠


 47



 


가운데 점을 유의 해 보십시요.


천안함 좌현에서 우현으로 진행하는 항적까지 보이고 있씁니다.


만약 저것이 핵잠 하와이라면


이 사고는 핵잠이 천안함의 좌현 후방 30 도 선에서 천안함으로


충격을 가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48



 


천안함은 1200 톤 ,버지니아급 핵잠은 8천톤 전 후 길이는 둘 다 100 여미터


그러나 잠수함의 무게나 장갑재료의 강도는 게임이 안됩니다.


마치 망치 앞의 종이배같은 거죠


몸무게 80 키로의 효도르가 12 키로 갓난애기를 치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저것이 유실되는 연돌이 아니라 핵잠의 세일이라면


앞으로 볼만한 드라마가 더 연출 될듯..


 49



 


그리고 보도되지 않은 것이 하나 있는데


해병해안초소에서만 열영상감지장치TOD를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그날 사고현장에 있던 대잠 링스헬기도 광학열영상카메라를 장착하고 있습니다.


뭐 불행히도 추락해서 탑승자 4명이 전원 사망하는 바람에 증거가 사라져 버렸지만......


무척 아쉽죠....인양한 기체는 두 번 째 링스 헬기 뿐입니다


 50



 


그리고 당시 훈련 해역을 정밀 감시하던 두 대의 미군 정찰기 역시 마찬가집니다.


모 연구원이 미국은 모든 자료를 갖고 있다고 한 근거입니다.


51



 


해병의 TOD도 일몰 후 자동 촬영 저장되는데


정부는 해병이 미상의  폭음을 듣고 촬영하느라 사고순간 이 전 장면은 없다고 했는데


거짓말입니다.


TOD냉각을 위해 끈다 하더라도 3일전에 옆초소에 경계구역을 알려 대신확보합니다.


그런데도 오리발을  내미는 이유는 뭔가 감추고 있다는  거겠죠??


52



 


▼ 현재 사용되고 있는 TOD로 TOD는 열상감시장비(TOD:Thermal Observation Device)인데 TOD는 CCD카메라·레이저거리측정기·GPS 등을 추가, 탐지거리 증대·주간감시·표적거리 측정 등이 가능하며. 인원은 3Km 차량은 8km까지 탐지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중량은 72kg이고 배율은 3~10배율입니다. 표준영상 재현 및 선명화면 획득이 가능토록 화소수(25만)의 기능을 가졌으며. 관측방법은 직접관측과 TV모니터를 통한 간접 관측방법이 있으며 열상 관측기로부터 100m 이격 거리에서 원격 운용 및 영상 녹화 가능한 장비입니다.


53



 


이 뿐만 아니라 사고 당 일


해군이 쏜 조명탄만 해도 2시간동안 5천발이 넘었습 니다.


북한 잠수함의 공격이었다면 무사히 빠져나가는 것은 불가능하였겠죠.


 54



 


세상 어느 잠수함이 대잠 링스 헬기의 디핑 소나와 P3C의 능동 소나를 피해 간단 말입니까?


북한 잠수함은 완전 스텔스에 손으로 헤엄쳐서 가나요?


다음 사진은 사고 수역에서 대잠 초계기 P3-C와 기동훈련 중인 함대


55



 


이런 사실을 볼 때 정부와 미군은 사고의 원인과 과정을 모두 알고 있으면서도


오리발을 내밀고 있다고 봅니다.


56


 


 


 


9.생존자의 상태는 어떤가요?


어뢰의 피격시에 나타나는 증상이 단 한 가지도 발견되지 않은 것은 왜죠???


다음 사진에서 견시병의 위치를 봅시다.


57



 


어뢰라면 화상환자,장파열환자,고막파열환자,동공파열환자,충격골절환자등이 수두룩할텐데


천안함은 사망자 반 생존자반 중상자 단 한명....좌우 견시병 생존.....???


버블제트어뢰이든 경어뢰 중어뢰 기뢰 폭뢰 뭐든 폭발이었다면 견시병은 수장됩니다.


견시병이 멀쩡했다는 것은


천안함에 가해진 충격이


소림사 고승들의 장풍처럼 충격의 속도와 모양은 부드러웠으나


가해진 충격체의 엄청난 질량과 강도로 인해 완전 파열 된 것이라 봐야겠죠


 


어뢰및 기뢰 피격이 아닌 이유

 


 


다음은 생조자 구조 장면입니다.

 

 

 


옷이 물에 젖은 자도 없고 뻘이 튄 자국도 없으며 별다른 환자도 없습니다.


58



 


다음은 천안함 생존자 인터뷰입니다.


이게 과연


어뢰가 폭발한 배에서 살아나온 사람들이란 말입니까?


장난치십니까?


59



 


 


다음과 같은 어뢰 피격 충격에서 어떻게 멀쩡할 수 있나요???


60



 


천안함은 전선피복 하나 불 타거나 녹은 거 없습니다.


61




 


다음 사진은 어뢰에 절단 나버린 2800톤 구축함입니다.


천안함과 비교하니 어떠합니까? 천안함 절단면은 얌전한 새색시입니다.


 62


 


 


저런 배에서 생존하고 아래처럼 멀쩡할 수도 있나요???


아뢰폭발시에 다친 화상 환자는???고막은???눈은???


수류탄 한 발에도 쌍 코피에 눈티 반티 걸레 되는데


수류탄보다 수 천 배의 폭발력에 무사하다???


63


 왜 이들을 격리 수용하고 있나요?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 재임 시절 연평 해전 때처럼 모든 것을 신속하게 다 공개 할 순 없나요?


무엇을 감추고 짜 맞추려고 오리발을 내미시나요?


65


 

 


 


10.연습용 어뢰가 있나요?


이번 훈련인지 지난 훈련인지 모르나


천안함은 잠수함으로부터 연습용 어뢰로부터 여러발 명중되었다는 것


한국군이 중공과 북한역을 맡는 연습이므로 천안함이 맞은 연습용 어뢰는 미국 또는 일본것이라는 것


이 번에 발견했다는 알루미늄 파편은 조작일테지만 사실이라해도 이상할 것은 없다는 것


연습용도 폭발은 하지 않아도 식별액을 터뜨리기 위해 부딪히면 터진다는 것


발견 된 RDX 화약은 공산권에선 사용을 하지 않는 것이라는 점


(한국과 일본을 비롯한 서방진영이 주로 사용)


 



 RDX 검출된 곳 해병대 포사격장 신문 보도

북 잠수함, 독일제·버블제트 어뢰 사용 불가능

 


따라서 이번 훈련에서 천안함이 연습용어뢰에 명중되었다면 천안함이 있던 곳에 잠수함이 있었다는 것


얀새님글 참고 http://bbs1.agora.media.daum.net/gaia/do/debate/read?bbsId=D003&articleId=3570183 


 


미국이 독수리 훈련 중 실수로 어뢰를 발사 한 것은 아닌가요?


미군 오폭은 아닙니다.폭발자체가 없었습니다.


물기둥,물보라,열,폭발음이 모두 없으면서 소나에 안잡히는 어뢰는 지구상에 없습니다.


또 사고 당시에 천안함은 전투 훈련 중이 아니었씁니다.


인양한 선체를 보면 부포 덮개가 그대로 있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훈련중이었다면 부포 덮개는 당연히 벗겨야 하는 것입니다.


또한 생존자의 복장은 전투 태세가 아니었습니다.대부분 평상복이나 내복이었죠


 66



 


천안함 함미의 스크류는 왜 안쪽으로 휘어졌나요?


 두가지 경우가 있씁니다.


첫째는 천안함이 좌초하여 급히 후진하다가 뒤에 있던 암초와 스크류가 부딪힌 경우


둘째는 천안함과 잠수함이 충돌하면서 2차 자유단 회전 때 잠수함 몸통과 함미 스크류가 스친 것이죠


어떤 경우에도 어뢰나 기뢰등의 폭발로 인한 결과가 아니라는 것은 분명합니다.


 67





이초에서 벗어나려고 후진하였거나 좌초로 자유단 회전하였다면


함 하부와 방향타가 저렇게 멀쩡할 수가 없습니다.


이 사진들을 저장한 후 확대하여 보십시요


68



 


보다시피 스크류는 방향타보다 1미터정도 아래에 위치합니다.


이것은 울퉁불퉁한 물체가 아닌 수평물체가 맨아래 스크류만 건드렸다는 증거입니다.




 


11.하와이가 진주만에 들어가기까지의 행적이 의심스러운 점은?


하와이와 오하이오함을 헷갈리지 마세요.


오하이오는 하와이보다 두배나 큰 전략핵잠입니다.


 


자 이제 유력한 용의자인 버지니아급 하와이함을 봅시다.


69



 


하와이가 진주만에 들어온 날짜를 갖고 자꾸 말이 많으신데


현재 하와이 입항을 눈으로 정확하게 본 사람 없습니다.


위 사진도 4월14일 촬영한 것을 4월18일에 인터넷에 올린것이라고 해당 기자가 말한바가 있고


그 기자가 확인한바로 하와이는 3월30일 우리시간으로 3월31일에 입고되었답니다.


그러나 사고가 난 하와이라면 분명히 밤에 입항하였을 겁니다.


목격자가 있다는게 더 이상하겠죠

 

1노트는 1.852km/h 대략 시속 1.8키로.

하와이의 공식 속도는 35노트다.

그전 모델이 45노트 중국 상급이 50노트라고 볼때 실제론 35노트 이상이라고 봐야 한다

35노트라고 쳐주고 시속 64820미터 =64키로 상회한다는 말이다.

위 그림들에서 보았듯 백령도에서 하와이까지의 모든 항로는 최소7600키로에서 8500키로사이다.

태평양 동서간 거리가 12000키로인 상황에서 1만키로 넘는다는 주장은 전부 초딩들이 하는 소리다.

하와이가 공식적으로 입항한 시간이 우리시간으로 3월 31일 늦은 오후이므로 약 5일이다.

하루 24시간 5일이면 120시간이다.

120시간 x 64820미터 =7778400미터 약 7778키로미터다.

여기서 해류를 타고 갔다는 가정하에 35노트이상 달렸다고 봐야 한다.

그렇다면 하와이는 백령도에서 5일만에 하와이 진주만 드라이독까지 충분히 이동이 가능하다는 이야기가 된다.

 

중요한 것은 하와이가 진주만에 돌아온 확실한 증거사진은 4월18일에야 등장했고

3월31일 입고와 4월14일 촬영은 단지 미국측 주장일뿐이라는 거다

당신이 뭔가 숨겨야 하는데 사실대로 말할까?

통상적 전례로 볼때 하와이가 31일 입고되었다면 당일 뉴스에 나오는게 정상이다


하와이의 이동예상경로 참고링크

http://www.cyworld.com/2LS/3264063 

 


 70



 


 


 71


 


 


 


12.일본에서 초대형 미군 구난함이 추가로  온 이유는?


 72



사진은 일본에서 달려오는 4만톤급 구난함 하퍼스 페리호


 


 


보도와는 달리 사고해역에서 많은 미국 잠수부들이 작업중이었고


73



 

 


74 



 


 75



 


76



 


 


시체로 보이는 백을 쉴새없이 헬기로 날랐다는 점 ....


77 다음은 사고해역에서 촬영된 미 해군 소속 씨호크 헬기입니다.



위 사진에서 헬기 아래 매달린 물체중 긴 막대로 보이는 것은 


잠수함의 세일에 있는 잠망경과 모양과 크기가 흡사하죠?


뭉툭한 것은 뭔지는 모르나 포장을 하여 묶은 물체입니다.




78



 


이상의 의문은 대충....일본과 미국 그리고 한국이


중국과 북한 연합군을 향해 가상전쟁훈련을 하다가 천안함에 미국이나 일본 잠수함이 충돌


천안함이 침몰


해당 잠수함침몰....등을 상상 할 수 있겠군요


 


 


 


다음사진은 2010 한·미 합동 키 리졸브(독수리훈련)에 참가한


해군 제1함대(동해) 사령부 소속 전투함과 미군함들입니다.


79



 


다음사진은 사고 당일 독수리 훈련(키 리졸브)을 하는 미7함대와 한국 2함대(서해 사고 수역) 모습


80



 


 


저 개인적으로는 천안함사고는 하와이가 천안함과 충돌하고


그 여파로 ASDS사일로가 떨어져서 생긴 일이라고 봅니다.


아직 이것들을 잘 이해하지 못하신다면 저의 다른글보기를 통해 확인하십시요


 


PS 201005201403



유성매직으로 금속 물질에다가 글을 써 놓고


완전히 마른 다음에 소금물로 닦아보니...


잘만 닦인다.


 


그런데 TNT250kg의 폭팔충격과 고열에도 끄떡없고


바닷물에 50일 가까이 침수되어서 철판이 부식되었어도 벗겨진 부분하나 없이 깨끗한


어뢰의 글씨를 북한이 유성매직으로 썼다는 것을 믿으란 말인가?


ㅎㅎㅎㅎ


-아고라 [바다는]님


기호1번 한나라당 찍어달라고 북한어뢰가 부정선거운동하네요?

바닷물에는 염화나트륨과 황산이온이 있어서 유성매직이 한달동안 버틸수가 없는데 이건 무슨 코미디도 아니고..


 

 

PS201005210454

천안함 함미함수 연결

좌현출입금지비공개 우현공개모습

 
 
 
 
----------------------------------- 링크 글  -------------------------------
 
 
같은 내용입니다.
 
자유토론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