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콜라 테슬라 (Nikola Tesla)
어린 니키 테슬라는 1856년 크로아티아(Croatia)의 스미즈란(Smijlan)에서 태어났다. 그는 놀랄만한 기억력을 가졌으며 6개 국어를 말할 수 있었다. 그는 그라츠(Gratz)에 위치한 폴리테크닉 공대(Polytechnic Institute)에서 수학, 물리학, 기계공학을 공부하며 4년을 보냈다.
그러나 테슬라를 위대하게 만든 것은 전기에 대한 그의 놀라운 이해력이었다. 그때는 전기라는 것이 매우 초보적인 단계였던 것을 기억하자. 전구도 발명되지 않았던 때였다.
1884년 테슬라가 미국으로 처음 건너갔을 때, 토마스 에디슨을 위해 일했다. 에디슨은 전구에 대한 특허를 받은 후 전기를 보내는 장치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에디슨은 그의 직류 전기시스템에 대해 여러 종류의 문제들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테슬라에게 그 시스템에서 문제점을 해결한다면 많은 보너스를 주기로 약속했다. 테슬라는 에디슨이 십만불(요즘 시세로 백만불)이상을 절감할 수 있도록 일을 마쳤지만 에디슨은 그의 결과에 합당한 지불을 거부했다.
테슬라는 일을 그만두게 되었고 에디슨은 그의 여생을 테슬라의 재능을 짓누르는데 바쳤다. 바로 이 점이 테슬라가 오늘날 알려지지 않게 되었던 주된 이유가 된다.
테슬라는 전기 전달을 위해 더 좋은 시스템을 고안했다. 우리가 오늘날 집에서 사용하는 교류 시스템이 그것이다. 교류는 직류 시스템에 비해 커다란 이점을 제공했다.
직류는 긴 거리 송전에 문제가 있다. 중간에 저항이 발생하기도 하고 저항이 있으면 발열이되어 전기손실이 크기 때문에 그 문제를 해결한게 교류였다. 교류는 긴거리 송전을 해도 전기손실율이 적다. 그래서 저 외딴곳에 발전소를 세우고 전봇대를 통해 가정에서 쓸 수 있는것이다.
테슬라는 자신이 새롭게 개발한 트랜스포머들을 사용함으로서 교류 전압을 승압시킬 수 있었고, 얇은 와이어를 통해 먼거리까지 전송할 수 있었다. 매우 굵은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동안 평방마일마다 큰 발전소가 요구되는 직류로서는 불가능한 일이었다.
물론 전송시스템은 그것으로 작동되는 장치가 없다면 미완성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그는 오늘날 일반 가정집의 모든 가전제품들에 쓰이고 있는 모터들을 발명했다. 이것은 쉽게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1800년대 후반의 과학자들은 교류 전류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는 모터를 발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확신하여 교류의 사용은 시간낭비라고 여기고 있었다. 결국 만일 초당 60회 전류의 방향이 바뀐다면 모터는 앞뒤로 잠겨버리고 아무런 동작도 얻을 수 없다는 것이었다. 테슬라는 이 문제를 쉽게 풀었으며 모든 이들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증명했다.
그는 이미 산업계에서 형광등이 발명되기 40여 년 전에 그의 실험실에서 형광등을 사용했다. 테슬라는 세계최초의 나이아가라 폭포에 위치한 수력발전소를 설계했고 그는 또한 자동차의 스피드메터에 관한 특허를 최초로 얻었다.
교류 시스템이라는 단어는 널리 알려지게 되었고 결국 죠지 웨스팅하우스의 귀에까지 들어가게 된다. 테슬라는 웨스팅하우스와 교류 1킬로와트당 2.5달러를 받는 조건의 계약서에 서명하였다. 이로인해, 테슬라는 그가 꿈꾸어왔던 모든 실험들을 시작할 수 있는 자금을 가지게 되었다.
테슬라에게 지불해야 할 로열티가 백만불에 다다르기 시작했을 때, 웨스팅하우스는 자금적인 문제에 빠져들게 되었다. 테슬라는 만일 그의 계약서가 계속 유효한 상태로 있게 된다면 웨스팅하우스는 도산하게 되고 그가 채권자들을 다루는데 아무런 희망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의 꿈은 모든 사람들이 값싸게 교류 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테슬라는 계약서를 찢어버렸다. 그는 세계최초의 백만장자가 되는 대신에 자신의 특허권들을 216,600달러에 웨스팅하우스에게 양도하게 된다.
에디슨은 이미 자신의 직류 시스템에 많은 돈을 투자했기 때문에 테슬라의 평판을 나쁘게 만들기 위해 그의 모든 것을 바쳤다. 에디슨은 지속적으로 자신의 직류 전력보다 교류 전기가 위험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노력했다. 의도적으로 사형집행에 사용하는 전기의자를 교류로 작동시키게 만들기도 하였다. 테슬라는 그러한 계획을 스스로의 마켓팅 홍보 무대에서 무력화 시켰다.
1893년 시카고에서 개최된 참가인원이 2천 1백만명에 이르렀던 세계전시회에서 그는 고주파 교류 전력이 그의 몸을 통과하여 전구가 켜지는 것을 보임으로서 교류 전기가 얼마나 안전한가를 시연했다. 그 다음에 그는 그의 테슬라코일에서 관중들에게 아무런 해가 없이 커다란 방전번개를 발사했다. 멋진 트릭이었다.
테슬라는 이 외에도 엄청난 발명들이 많고 그로 인해 파급된 발명품들은 우리들의 미래를 10년이상 앞당기는 효과를 가져왔다. 이런 그에게 에디슨은 자존심에 많은 구김을 당한다. 하지만 테슬라는 그런 악덕업자인 에디슨에 일일이 대응하지 않았다. 오히려 그는 우리가 뢴트켄이 처음 발명한것으로 알고 있는 엑스레이를 먼저 발명하고도 뢴트켄에게 공을 돌렸다.
그후 1년이 지난후 자신의 두개골 엑스레이 사진을 뢴트켄에 보냈고 뢴트켄은 그의 그런 공을 인정하여 사람들에게 널리 알렸다. 테슬라는 그때서야 대중들 앞으로 나서게 되었다. 그는 돈과 명예를 원하지 않아 노벨상도 거부했을 정도로 욕심도 없었다. 이런 품위있는 발명가는 조국 크로아티아에서는 국경일로 지정하여 그를 기리고 있다.
아직도 그의 발명이나 이론을 연구중이지만 실현 못하는 것들도 많다. 생전에 테슬라가 프라즈마 구체를 자유자제로 움직였던 실험은 아직 실현이 되고 있지 않다. 그래서 그랬나 영화 프리스티지에서 니콜라 테슬라는 발명가를 넘어서 마술가의 모습으로 나오기도한다.
시대를 너무 앞서가니 발명가보단 마술가로 보인 이 몽상가적인 모습에 그는 사람들에게 각인되지 못했고 그 악덕한 에디슨만이 기억에 남아 있을것이다.
![](http://pds6.egloos.com/pds/200711/13/58/d0042758_4738b911ebe8a.jpg)
니콜라 테슬러는 라디오, 리모컨, 형광등, 발전기, 전자레인지등 800여개의 발명특허권을 보유.
"에디슨과 함께라는 노벨상 싫어"
여기에 소개할 니콜라 테슬라는 노벨상 수상을 거부했다. 노벨상을 받기위해 로비도 하는 사람들에게는 정말 웃기는 사람이다. 노벨상의 수상 거부의 의견도 웃긴다. "단지 에디슨과 나란히 수상할 수 없기 때문이오" 라고 말했다.
에디슨은 당대나 지금이나 발명의 왕으로 추앙 받고 있는 사람인데 에디슨과 같이 받는 것이 싫어서 노벨상을 거부한 것이다. 여기에는 우리는 많은 의문이 있다.
우리는 에디슨을 발명의 큰 인물로 알고 있고 테슬라는 거의 잘 모르기에 에디슨과 같이 받는다는 것은 오히려 영광이지 않은가? 하는 그런 의문이다.
이후 이야기 전개에서 알려지겠지만 테슬라는 에디슨과 비교해도 결코 비중이 딸리는 인물이 아니다. 오히려 에디슨보다 우리의 생활에 더 많은 영향을 주었다. 혹자는 그를 레오나르도 다빈치 이후 최고의 지성이라고까지 격찬한다.
테슬라의 업적은 미국 국방의 이유로 감추어지고, 적대적인 동구의 이민자란 이유로 무시되어져 왔다. 평생을 독신으로 살면서 발명과 결혼한 사람, 무한에너지를 꿈꾸는 황당한 몽상가로, 자신의 발명이 세계대전에 쓰이는 것이 마음 아파 괴로워하는 휴머니스트로, 발명의 대중화를 위해 특허를 포기하는 멋진 사람으로, 그러나 말년은 돈에 의해 찌들린 삶으로 살아간 사람.
형광등·전자레인지 등 발명
테슬라는 110V 또는 220V로 각 가정에 전송되는 전기공급방식인 교류전류 시스템과, 다양한 색을 자랑하는 네온등, 형광등, 자동점화장치, 전자레인지, 자동차의 속도계, 리모트 컨트롤, 유도전동기발명, 교류발전기, 변압기, 전동기 등의 특허를 가지고 있고, 테슬라코일 발명했다. 무선에너지전송기술 연구했고, 세계 최초로 나이아가라폭포에 교류발전소를 책임지고 설치했다.
가히 천재라는 말을 할 수 있다. 1943년 사망할 당시 그에게는 8백 개의 발명특허권이 남겼다. 놀라운 점은 무선통신의 선구자 마르코니가 발명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라디오 역시 사실은 테슬라의 발명품이라는 것이다.
마르코니가 특허내기 10년 전 테슬라는 라디오에 숨은 원리를 보여주었고, 마르코니와의 무선통신 특허분쟁에서 테슬라는 미국 대법원으로부터 승소판결을 받음으로써 진정한 무선통신의 아버지로서 인정받게 됐다.
음성, 그림을 무선으로 전송한다는 생각은 테슬라의 것이었다. 당시 마르코니는 무선 전기 신호정도를 보내는 기술정도 였다. 무선에너지 전송기술은 현재 일 부분 사용되고 있고 지속적으로 발전되고 있다.
예로 캐나다는 자국의 산림을 보호하기위해 인공위성과 비행기를 이용해 산림을 감시하고 있다. 그러나 인공위성의 단점은 해상도가 낮아 불이나고 며칠 후에나 알 수 있다는 것이고, 비행기의 단점은 자세한 관찰이 가능 하지만 인간이 탑승함으로 장시간 감시가 불가능하다.
그래서 무인 비행기에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송하고 몇 년이고 떠 있게 하는 비행기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뉴욕의 메디슨 광장에서 세계 최초로 원격조종 보트를 시연하기도 하였다.
이런 테슬라가 왜 잘 알려지지 않았을까?
여기에는 미국인들의 오만이 있었다.
러시아에서 이민 온 발명가 보다는 미국인인 에디슨이 더 그들에게 호감을 갖고 애정을 갖는 것이었다.
전세계에 전력 무상 공급 꿈꿔
공간에너지와 무한동력장치를 생각해낸 테스라는 무선으로 전 세계에 전력을 공짜로 송신하려는 꿈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1900년에 금융가인 모건으로부터 후원을 받아 롱아일랜드에 무선 방송탑을 착공하였는데, 이 방송탑은 전 세계를 상대로 전화와 전신서비스, 사진, 증권정보, 기상정보 등을 보내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후원자 모건은 공간에너지를 전 세계에 무상으로 공급하려는 테슬라의 숨은 의도를 알아차리고 재정지원을 중단하였다. 태초 이래 이렇게 원대한 구상을 한 발명가는 없었다.
그리고, 에디슨을 가볍게 비웃을 발명가는 테슬라 이외에는 없을 것이다.
대중화를 위해 특허를 포기한 테슬라에게, 전 세계에 무상으로 전기를 보내겠다는 테슬라에게, 전 세계에 무상 인터넷을 구상한 테슬라가 보기에, 에디슨은 탐욕적인 발명가, 전기의자나 만드는 비인간적인 발명가에 불과한 사람이었을지 모른다.
예수회가 움직이는 일루미나티, 프리메이슨은 세계 지배를 위해 동원하고 있는 무기로 우선 '세계 평화를 위한 보호활동'이라는 명분으로 무장한 '에셜론(ECHELON)'이라는 가공한 정보감시체계를 꼽는다.
![](http://www.fas.org/irp/program/process/echelon-m.jpg)
![](http://www.rbitting.com/images/nsa_logo.gif)
![](http://www.salon.com/news/feature/2006/06/21/att_nsa/story.jpg)
![](http://rs.resalliance.org/wp-content/uploads/2007/10/nsa_2005_traffic_flows_630px.jpg)
에셜론에 대한 이야기가 언론인들의 입에 오르내린 것은 1981년부터다. 1996년 뉴질랜드의 기자 헤이거가 <숨겨진 권력,국제스파이 망에서 뉴질랜드의 역할>이라는 책을 발간하면서 자세한 내용이 알려졌다.
사실상 미국의 NSA가 주도하고 있는 에셜론은 전세계 인류의 사생활까지 감시하는 프로그램이다.
전파를 이용하는 통신은 전화. 이메일. 휴대폰 통화. 팩스통신 가릴 것 없이 '에셜론 딕셔너리'라는 슈퍼컴퓨터를 통과하게 된다.
내용 중요시찰 어휘로 등록된 단어가 있으면 요시찰 인물로 등록되고 이후 계속 자동감별 된다.
국가정책 반대론자나 반정부 인사로 지목되면 그 사람의 사생활은 완전 노출된다.
이 외에도 정보감시기구와 함께 가공할 무기도 있다.
그 것은 19세기 후반 인류 역사상 최고의 발명가로 꼽히는
니콜라 테슬라(1856~1943년)가 기초를 제공한 과학무기다.
테슬라는 교류전기의 발명과 실용화를 이끌어낸 과학자다.
![](http://imagecache2.allposters.com/images/pic/adc/10098920A~Nikola-Tesla-Posters.jpg)
이에 에디슨을 떠난 그는 훗날 에디슨에 대한 평에서 "에디슨은 볏짚 속에 바늘이 떨어지면 지체하지 않고 볏짚 하나하나를 뒤지기 시작해서 찾을 때까지 꿀벌처럼 일할 사람"이라면서 "나는 약간의 이론과 계산법으로 그가 들이는 노력의 10%만으로 원하는 것을 찾는 법을 알기에 그의 아둔함을 측은히 여겼다"고 말했다.
테슬라의 이같은 평가는 교만이 아니었다.
테슬라의 교류전기 기술을 사들인 웨스팅 하우스사가 값싸고 실용적인 교류발전기를 만들면서 교류전기 기술은 에디슨의 직류전기를 능가하게 됐다.
x
-레이도 1895년 독일의 뢴트겐이 발견했다고 알려졌지만 뢴트겐이 x-레이 발견을 발표했을 때 테슬라는 이미 x-레이를 이용해 머리를 찍은 사진을 뢴트겐에게 보냈다.![](http://www.calstatela.edu/faculty/kaniol/f2000_lect_nuclphys/lect1/rontgen_460.gif)
렌트겐은 이를 숨기지 않고 일반에 공개했다.
그러나 테슬라는 뢴트겐에게 영관을 돌리면서 x-레이의 위험성도 함께 경고했다.
테슬라는 마르코니를 고소해 승소했으나, 이미 마르코니가 유명해진 뒤였다.
그런데 테슬라도 마르코니의 무선통신 방법은 하찮게 여겼다.
마르코니는 대기를 통한 송전방법을 이용했는데, 전파가 대기 상태에 제한을 받게 되는 약점이 있다.
테슬라는 긴 파장을 이용한 저주파로 지표면을 사용해 거리 제한이나 기후조건에 따른 제약이 전혀 없는 방식을 실현시키려고 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그가 음모론에 등장하는 과학자가 된 이유는 따로 있다. 듣는 사람들이 그가 천재에서 미치광이 사이를 오락가락하고 있다고 생각하게 만드는 발언들을 많이 했기 때문이다.
태양광선보다 더 이상 빠른 속도는 있을 수 없다고 믿어지는 시대에 그는 50배나 빠른 속도를 가진 빛을 개발했다거나, 그가 78세인 1934년에는 "3백km 떨어진 거리에 있는 비행기 1만대를 단번에 떨어뜨릴 수 있는 살인광선을 2백만 달러만 있으면 3개월만에 만들어낼 수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현재 테슬라가 말하는 살인광선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의심받고 있는 시설물이 바로 하프(haarp)다.
알래스카 가코나의 80만평 대지에 1백80개의 십자형 안테나가 늘어서 있는데, 미 공군과 해군이 주도하고 있다.
이 시설에 대한 공식적인 설명(www.haarp.alaska.edu)은 태양 에너지가 지구 상층부위에 들어오면서 일어나는 자연적인 현상을 인위적으로 실험해 보는 연구소다.
하프 연구에는 핵폭탄이 터질 때 나오는 전자파고동(emp) 무기, 전자기파방사선(emr)에 의한 사이클로트론 공명 장치도 포함돼 있다.
![](http://www.hemidata.com/images/EMR-Diagram.gif)
사이클로트론 공명이란 신체 내에 아주 작은 물질을 EMR에 노출시키면 그 물질이 자극되어 실제 양보다 수천배가 체내에 있는 효과를 내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전자파는 진동이기 때문에 특정 물질을 공명시키는 주파수의 전자파를 쏘이면 공명이 일어나 신체에 엄청난 충격을 준다.
예를 들어 담배를 피우는 사람에게 EMR를 쏘이면 체내에 있는 소량의 니코틴이 공명 증폭돼 죽게 된다.
이같은 무기들이 실제로 실험도 이뤄지고 있다. 물론 전 인류 중에 매우 소수이기 때문에 아는 사람들도 별로 없고 남의 문제처럼 여긴다.
주변 사람들이 자기와는 무관한 것으로 여겨 관심을 두지 않는 것을 '놈'(nomb:non of my business) 증후군으로 명명한다.
또는 '도살장의 소'(cish)라 이름 붙였다.
도살장에 끌려가는 소들은 조금 후에 자신이 죽는 것을 모른다.
물론 도살꾼들이 소에게 죽이러 간다고 말할 이유도 없으려니와, 그 동안 주인은 혹여 병이라도 걸릴까 소의 건강을 위해 온갖 정성을 기울이기 때문에 소들은 주인들을 철석같이 믿게 된다.
이와 같이 소들은 도살장에 도착해서라도 자기 차례가 되어 죽임을 당하기 직전까지는 사람들이 자기를 죽인다는 사실을 믿지 않는다는 것이다.
미국을 잘 아는 사람들은 실제로 미국의 외교정책을 수립하는 곳은 예수회가 관활하고 있는 외교관계협의회(CFR)이며, 빌더버그 같은 조직들은 CFR과 횡으로 연결된 조직이라는 것을 알며, 부시나 케리는 똑같은 프리메이슨 해골종단 출신이며, 프리메이슨에게는 국가관념이 없고 이들이 지향하는 바는 세계 단일정부 수립과 세계 독점경제라는 것을 극소수의 사람들만이 알고있다.
그 목적을 위해 그들이 할 일이란 이제 두 가지 마지막 세계전쟁과 혁명이라면서 우선 혁명이 일어나기 전에 필요한 것은 카오스라고 경고한다.
카오스 : 예측할수 없는,불규칙한,혼란한 현상
![](http://www.clashofarms.com/images/chaos2.gif)
카오스를 제일 먼저 실시할 곳은 미국이다.
미국의 카오스는 아무도 미국에 맞서 겨루기를 꺼려하는 마당에 미국이 내적으로 붕괴되어야 가능하며, 이것이 인위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측된다.
미국 사회를 중국 춘추전국시대보다 더 험난한 지금의 이라크와 같은 상태로 만든 다음, 극도의 고난 (경제공황, Haarp를 통한 천재지변, 인위적인 지진, 켐츄레일을 통한 질병 유포, 곧 이어질 두번째 테러 등등)을 겪고 있는 미국 시민들 앞에 구세주와 같은 절대 영웅(교황)이 나타나서 군부 쿠데타로 전국을 통일하고 이여서 전 세계를 하나의 정부로 만들어 온 세상 사람들을 지배하게 될 것이다.
![](http://www.mediabistro.com/fishbowlLA/original/pope_looks_like_palpatine_02.jpg)
'세상분별 > 세상-세계정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타이타닉호의 침몰은 예수회의 음모였다. (0) | 2010.08.04 |
---|---|
[스크랩] 음모론의 배후에는 금융왕조 로스 차일드가 있다. (0) | 2010.08.04 |
[스크랩] 666 온역 종교재판 (0) | 2010.08.04 |
[스크랩] 대환란 시나리오! (0) | 2010.07.14 |
[스크랩] 딸기 값이 올랐다구요? 목숨값만큼??? (0) | 2010.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