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81

네피림 일반적으로 우리들이 생각하는 거인이라하면 2m-3m안쪽의 일반적인 크기를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런데 그런 정도의 크기의 사람을 보고, 특별히 네피림(giants)이라고 성경에 기록이 되어 있을까요? 더군다나 몇명되지도 않을거라면 말입니다. 아니면 우리가 그런 기록들을 너무 과소평가하고 있는것은 .. 2010. 2. 13.
원죄론에 대한 나의 생각 원죄론과 무원죄론과의 토론을 보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분명히 둘 중에 하나는 하나님께서 맞다하실 것임이 분명하다. 그런데 우리는 이 문제를 덮어버리기에 능숙하다. 왜냐하면 서로 상처를 받기 싫어서이다, 쉽게 결정날 사항도 아니기 때문에 그저 모든 것은 주님 오시.. 2010. 2. 8.
의인인가? 죄인인가? agok님 님은 제 글을 제대로 안읽었습니다. 그리고 제가 쓴글 이글로 성경을 다 표현할 수 없습니다. 님이 뎃글로 엄청 긴 뎃글을 남겼듯이 제가 만약 님이 말씀한 것까지 설명하려면 제 글은 더 길어야 할 것입니다. 제 글중에 이런 내용이 있습니다. -------------------------------------- 그러나 우리가 이땅에 .. 2010. 2. 7.
의로움이란? 빛의아들- 주님이 우리를 의롭다 하실때 우리가 의로운 행위를 통해서 의롭다 하시는것이 아니라 믿음으로 말미암아 의롭다 하시는 것입니다. 제 글의 핵심은 우리 스스로 의롭다 하는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음을 말합니다. 우리가 아무리 우리 스스로 의롭다 할지라도 우리는 우리 스스로 의로와질수.. 2010. 2. 7.
오직 믿음은 없다! 이효삼(에임스한인연합감리교회) Not only But also 오직 믿음은 없다! 이효삼(에임스한인연합감리교회) ------------------------------------------------------------------------------- 서론: *. 성경을 100% 믿는다고 말하는 목회자와 교인들이 있다! (요한계시록 22:18-19) 정말 성경을 온전히 그대로 믿어왔는지 확인해 봅시다. 성경을 100% 믿는다고 말하는 목회.. 2010. 2. 7.
믿는자는 의인이다 이글은 앞선글에서의 죄인론에 대한 보는 관점을 다르게하여 쓴 agok 님의 글입니다. 루터의 의인겸 죄인론에서 발전하여 성도의 신분은 의인이고 상태는 죄인이라는 분석식 장로교 교리가 나왔으나 성도의 영은 거듭나서 그리스도와 연합한 상태 즉 성령이 내주하는 ,온전한 하나님의 양자된 영이고 .. 2010. 2. 7.
[스크랩] 다 죄인입니다. 하나님앞에서는......................... 나는 의롭다고 생각하시는 분이 계십니까? 그러면 님은 하나님의 사랑을 받을 자격이 없는 분입니다. 나는 죄가 없다는 분을 만납니다. 예수님을 믿으니 죄가 없다고 합니다. 병고침을 받듯이 죄사함을 받아서 이제 죄가 없고 죄를 짓지 않는답니다. 거짓말인거 다 알고 있습니다. 인간은 다 똑같기 때.. 2010. 2. 5.
[스크랩] 죄의 유전, 대신 속죄, 대표 속죄 죄의 유전, 대신 속죄, 대표 속죄 이 문제를 살펴보는 것은 그리스도인들에게 매우 중요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것은 거듭난 그리스도인들이 정통해야할 사항이며, 또한 거듭남의 확신이 없는 구도자들에게, 새로이 믿기 원하는 모든 사람들에게도 크게 유익한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참 그리스도인.. 2010. 2. 5.
원죄,자범죄,그리고 결론 (7) 출 34장 7절, 20장 5절 죄유전을 반대하는 분들이 이 구절들을 지적하여, 왜 하나님이 죄 값을 영원히 찾지 아니하시고 3-4대만 찾는가를 말합니다. 우선 이 구절들은 죄가 3-4까지 유전된다고 말하는 말씀이 아니라, 하나님의 보응이 거기에까지 미친다고 하신 말씀이라는 점입니다. 죄가 3-4대까지만 .. 2010. 2. 5.
죄의 유전에 관한 에스겔서 (5) 에스겔서 18장 4절 20절 에스겔서 18장은 아담으로 말미암아 죄가 세상에 들어온 것을 다루는 장이 아닙니다. 그 장에서 심판과 보응을 말하는 것은 자범죄들을 두고 하시는 말씀이며, 아담의 범죄로 죄가 이미 세상에 들어온 이후에, 각각 개인들이 저지르는 자범죄에 대하여 각자가 자기 책임하에 .. 2010. 2. 5.
칼빈의 죄의 유전과 알미니안주의 (3) 칼빈주의 칼빈주의는 인간은 완전히 부패하여 아무것도 할수 없다고 말한점에서는 옳았습니다. 그러나 한가지 예외가 있음을 깨닫지 못했습니다. 즉 인간은 죽은 시체 처럼 아무것도, 아무런 선행도 할수 없지만 단 한가지 예외가 있습니다. 그것은 하나님이 던지는 구원의 밧줄을 잡고 싶다고 고.. 2010. 2. 5.
죄의 유전 두번째 반론 (2) 죄의 유전을 부정하기 위한 전제와 부정의 결과 죄의 유전을 부정하기 위해서는 혼이 다음세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부정해야 합니다. 실제 혼의 형성은 두뇌세포의 형성에 크게 연관되어 있으며 그것은 비록 무형의 비가시적 실체이지만 어디까지나 육체에 기반을 두고 있다 할 것입니다. 혼이 .. 2010. 2.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