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관련379

죄의 유전에 대해... 하토브님의 죄의유전에 대한 글을 보고 느끼고 생각이 나는 점을 올립니다. 로마서 5장 15 그러나 그 은혜의 사역은 그 범죄와 같지 아니하니라. 왜냐하면 한사람의 범죄함으로 많은사람이 죽었지만, 하나님의 은혜와 선물이 한 사람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로 많은사람에게 훨씬 더욱 넘쳤음이니라. 한 .. 2010. 1. 31.
4. 성경적 근거 없는 ‘삼박자 구원’ 4. 성경적 근거 없는 ‘삼박자 구원’ “사랑하는 자여! 네 영혼이 잘 됨같이 네가 범사에 잘되고 강건하기를 내가 간구하노라.” (요삼 1:2) 상기 성구는 형통 신학을 토착화한 신토불이 용어 ‘삼박자 구원’의 근거 구절이다. 제대로 된 그리스도인의 경우 '영혼이 잘 되는 것'(영적 성숙)은 필연적으.. 2010. 1. 29.
3.기복신앙을 부추기는 구절들 3.기복신앙을 부추기는 구절들 대다수의 그리스도인들은 복 개념의 그리스도 중심적 발전에 무지하고 무관심할 뿐 아니라 반대로 자신의 꿈을 이루거나 성공과 번영을 기약해 주는 것 같은 성구 내용에 대해서는 엄청난 매력을 느낀다. 그런 경우 인용되거나 회자되는 구절들은 성경의 문맥이나 정당.. 2010. 1. 29.
2. 구약의 복 vs 신약의 복 2. 구약의 복 vs 신약의 복 그렇다면 복의 특징에 있어서 구약과 신약 사이에는 왜 이런 차이가 두드러지는 것일까? 왜 구약의 복이 주로 물질적·현실적·가시적인 것인 반면, 신약에서는 복의 초자연적·영적·내면적 성격이 강하게 부각되고 있는 것일까? 이에 대한 근본적 답변은 구약 시대와 신약.. 2010. 1. 29.
1,성경이 말하는 복은 무엇인가? 성경이 말하는 복은 무엇인가? 우선 ‘복’의 어의(語義)부터 알아보자. 히브리어 베라카는 ‘좋은 것’(good)을 뜻하는데, 주로 물질적 은택(material good)을 의미한다. 희랍어 율로기아(eujlogiva)는 주로 복음이 가져다주는 영적 선/유익을 의미하지만, 때로 물질적 유익을 가리키기도 한다. 이에 비해 마카.. 2010. 1. 29.